python 개념정리

[파이썬]숫자형

dev_눕개 2021. 8. 29. 23:03

숫자형


숫자형

3, 7, 1.5, 0x16 등은 숫자의 형태이며, 이러한 값들을 저장하는 변수를 숫자형 변수라고 한다.

숫자형 변수는 크게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나뉜다.

 

숫자형 변수나 상수끼리의 연산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수학의 사칙연산과 같은 결과를 만들어낸다.

예제

print( 3 + 7 )

 

a = 1 + 5

print( a )

 

b = 1.5 + 4.2

print( b )

 

c = 0x16 + 0x08

print( c )

 

실행 결과

10

6

5.7

30

 

정수형은 우리가 평소에 쓰는 십진법 이외에도 8진법, 16진법 등을 포함하는 점에 주의하자.


정수형

정수형이란 소수점이 없는 숫자형 데이터를 의미.

정수형 데이터는 자연수와 음의 정수, 0을 모두 포함.

 

 

위의 예제에서 변수 a는 정수형 변수가 된다.

상수 1과 5는 모두 정수형이므로, 그들을 더한 값도 정수형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변수 a에는 정수형 데이터 6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정수형끼리의 연산은 항상 정수형 결과물을 반환한다.


실수형

실수형이란 소수점이 존재하는 숫자형 데이터이다.

상수 1은 정수형 데이터이고 상수 1.1은 실수형 데이터이다.

 

위의 예제에서 변수 b는 실수형 변수가 된다.

상수 1.5와 4.2는 모두 실수형이므로, 이들을 더한 값도 실수형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변수 b에는 실수형 데이터 5.7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실수형끼리의 연산은 항상 실수형 결과물로 반환한다..

 

실수형과 정수형 사이의 연산은 실수형 결과물을 반환한다.


16진법

컴퓨터는 0과 1만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므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이진법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이진법은 작은 수를 표현하는데도 그 표기가 매우 길어지므로, 프로그래밍 세계에선 보통 16진법이 다수 사용된다.

 

16진법은 한 자리가 0부터 15까지의 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때 10 이상의 수는 영문자 a부터 f까지로 표현된다.

16진법 표기임을 명시하기 위해서는 숫자 앞에 반드시 '0x'를 붙여줘야 함에 주의.


산술 연산자

파이썬에서는 사칙연산을 위한 산술 연산자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연산자가 있다. 

또한 나눗셈의 몫을 알고 싶다면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곱 연산을 하고 싶다면 ** 연산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니까 암기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