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 in s, x not in s
파이썬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조건문이 있는데
바로 x in s과 x not in s 이다.
in 키워드는 변수 s에 x 값이 포함되어 있다면 True를 반환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False를 반환한다
반대로 not in 키워드는 변수 s에 x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True를 반환하고, 포함되어 있다면 False를 반환한다.
이때 변수 s의 자료형은 리스트, 튜플이나 문자열이 올 수 있다.
in 이라는 단어의 뜻을 생각하면서 아래 예제를 보자
예제
>>> a in ['a','b','c']
False
>>> 'a' in ['a','b','c']
True
>>> 'a' not in ['a','b','c']
False
in 키워드를 앞서 살펴본 예제에 응용하면 다음과 같다.
box =['candy','chocolate','coke']
if 'candy' in box:
print("삼키다") #pass
else:
print("뱉다")
실행 결과
삼키다
이때 print("삼키다") 대신에 pass 키워드를 넣는다면 아무런 결과도 출력되지 않고 if / else 문이 종료된다.
and, or, not
파이썬에서 지원하는 또 다른 연산자가 있다.바로 and, or, not 이다.
C언어에서 이 연산자들을 &&(and), ||(or) 등으로 지원하지만 파이썬에선 좀 더 직관적으로 글자 그대로 지원한다.
연산자 설명
x and y x와 y가 둘 다 참이면 결과도 참입니다.
x or y x와 y 중에서 둘중에하나만 참이면 결과도 참입니다.
not x x가 참이면 결과는 거짓입니다.
코딩연습
a=1
b=0
if a and b:
print("AND")
elif a==0:
print("a=0")
elif b==1:
print("b=1")
elif not a:
print("not a")
else:
print("OR")
실행 결과
OR
위의 예제와 같이 and, or, not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금까지는 살펴보지 못했던 elif 키워드가 있다.
이 키워드는 if / else 문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상황을 위해 또 다른 if 문을 삽입한 것이다.
'python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무한루프의 개념과 종료 (0) | 2021.09.02 |
---|---|
[파이썬] while문 (0) | 2021.09.01 |
[파이썬] if 조건문 2 (0) | 2021.09.01 |
[파이썬] if 조건문 1 (0) | 2021.08.31 |
[파이썬]집합(set) (0) | 2021.08.31 |